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구조

명령어

Operation Code : 명령어에서 기능부 (연산자)

Operand : 피연산자

 

 

operand의 개수에 따라 0-주소 명령어, 1-주소 명령어, 2-주소 명령어, 3-주소 명령어라고 한다.

출처 : 명령어 형식과 주소 지정 방식 (Addressing Mode) > 도리의 디지털라이프 (skby.net)

 

 

 

 

operation code의 유형 (mips기준 )

더보기

산술 논리연산

데이터 전송

분기문

 

주소지정 방식

 

1.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오퍼랜드 필드에 직접 명시하는 방법이다. 

장점 : 주소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오버헤드가 없다.

단점 :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된다.

 

2.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오퍼랜드 필드에 메모리의 주소를 참조한다.

장점 :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커진다.

단점 : 즉시 주소 지정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3.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메모리의 주소를 2번 참조하는 방식이다. operand -> memory1 -> memory2

장점 : 표현할 수 있는 유효주소의 범위가 넓어진다. 

단점 : 직접 주소 지정방식에 비해 더 느려진다.

 

4.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오퍼랜드 필드에 레지스터를 명시하는 방법이다. 

장점 :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보다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것이 빠르다.

단점: 레지스터의 크기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5.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오퍼랜드 필드 -> 레지스터 -> 메모리 순으로 참조, 레지스터엔 메모리의 주소가 담겨있다.

장점: 표현 가능한 요효주소의 크기가 커진다.

단점 : 레지스터 주소 지정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Reference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강민철지음, 한빛미디어 출판)
  • 컴퓨터 구조및 설계 (데이비드 A패터슨, 존 헤네시지음, 한티미디어 출판)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구조] 명령어 파이프라인  (0) 2023.06.12
코어와 멀티코어  (0) 2023.06.02
인터럽트  (0) 2023.06.02
CPU의 구성  (0) 2023.05.25
헷갈리는 데이터 단위 정리  (0)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