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 썸네일형 리스트형 JSTL EL JSTL이란 Java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의 약자로 jsp 내애서 자바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태그 형식으로 사용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기술이다. 자바 파일에서는 자바코드만 쓰고 jsp 파일에서는 태그만 쓰면 가독성과 코드가 간결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EL은 Expression Language로 데이터를 간결하게 표현하도록 해주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JSTL 태그 형식으로 조건문, 반복문 등 연산이 가능하다. 연산이 가능하니 주석 처리를 할 경우 컴파일을 막는 주석을 사용해야 한다. JSTL jar 다운로드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javax.servlet/jstl/1.2 위의 주소에서 jar를 다운받느다. jsp 파일에서 사용.. 카카오맵 사용 시 라이브 서버에선 되는데 톰캣에선 안될 때 카카오 개발자 서비스 → 내 애블리케이션 → 앱설정 → 플랫폼에 사이트 도메인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localhost:5050으로 live server의 포트번호만 등록해 놓아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고 추가로 자신의 톰의 포트번호를 등록해 주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Java] static 초기화 블록 최근 static 초기화 블록이 헷갈리는 일이 있어서 이참에 정리하려고 한다. 초기화 블록은 클래스 내의 멤버변수를 명시적 초기화보다 복잡한 초기화를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초기화블록은 static 초기화 블록과 일반 초기화 블록이 있다. 이 둘을 각 각 클래스 초기화 블록 과 인스턴스 초기화 블록 이라고 한다. 클래스 초기화 블록 클래스 초기화 블록의 선언은 static { } 이런 식으로 하고, 클래스가 로딩되는 시점에 한 번만 실행된다.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heap에 인스턴스의 크기만큼 메모리가 잡히고 초기화 블록이 멤버변수들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그다음에 생성자가 실행된다. 인스턴스 초기화 블록 인스턴스 초기화 블록은 { } 이런 식으로 선언한다. 인스턴스 초기화 블록은 모든 생성자들이 공통적.. 톰캣 이클립스 연동 톰캣과 이클립스를 연동하기 전에 톰캣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톰캣이란? 톰캣에 대해 검색해 보면 WAS라고 나온다. WAS란 Web Application Server 의 줄임말이다. WAS가 하는 일은 동족 페이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하면 정적 페이지는 페이지 내에서 연산이 없는 페이지를 말하고 동적 페이지는 연산을 거쳐야 하는 페이지를 의미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동적페이지에는 마이페이지, 게시판 등이 있다 이런 페이지들의 공통점으로는 DB를 조회/수정/삭제하는 연산을 거쳐 사용자들마다 다른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위의 그림에서 client가 요청을 하고 있다. 만약 client가 정적 페이지를 요청하면 이 요청을 Web Server 가 받아서 정적페이지인지, ..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