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캣과 이클립스를 연동하기 전에 톰캣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톰캣이란?
톰캣에 대해 검색해 보면 WAS라고 나온다. WAS란 Web Application Server 의 줄임말이다. WAS가 하는 일은 동족 페이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하면 정적 페이지는 페이지 내에서 연산이 없는 페이지를 말하고 동적 페이지는 연산을 거쳐야 하는 페이지를 의미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동적페이지에는 마이페이지, 게시판 등이 있다 이런 페이지들의 공통점으로는 DB를 조회/수정/삭제하는 연산을 거쳐 사용자들마다 다른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위의 그림에서 client가 요청을 하고 있다. 만약 client가 정적 페이지를 요청하면 이 요청을 Web Server 가 받아서 정적페이지인지, 동적페이지 인지를 구분한다. 만약 정적페이지에 대한 요청이라면 Web Server가 바로 응답을 해 준다.
하지만 동적 페이지 일 경우엔 Web Server는 WAS에게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WAS가 요청을 받아서 이를 서블릿을 생성하고 DB를 조회하는등 연산을 수행 한 뒤에 다시 정적 페이지로 변환을 해서 web server로 전달해 준다. 그리고 이를 web server가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 준다.
1. 톰캣 설치
https://tomcat.apache.org/download-9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9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9.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 of Tomcat 9.0.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
tomcat.apache.org
다운을 받았으면 c드라이브에 압축을 풀고 bin 폴더에 들어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본다.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때 :
conf 폴더의 server.xml파일을 연 다음에 박스부분의 port 번호를 다른 번호로 바꾸어 주면 된다.
2. 이클립스 연동
window -> preferences -> server검색 -> runtime Environments -> add로 다운받은 tomcat서버를 등록한다.
Browse를 눌러 압축 해제된 톰캣의 경로를 지정해준다. 모두 완료 했으면 apply하고 Server and Runtime에 들어와 Server runtime도 다운받은 톰캣 버전에 맞추어 바꿔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