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leval :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로 실행환경을 설정해 주는 명령어이다.
ex) init 0
현재 런레벨 모드를 확인하려면 /lib/systemd/system 디렉터리 안의 runlevel?.target파일을 확인한다.
runlevel?.target 파일은 링크 파일로 각각의 target파일은 해당 파일과 연결된 파일을 가리킨다.
runlevel0.target은 poweroff.target파일을 가리킨다.
※init 0은 시스템 종료, init 6은 재시작
리눅스에서 키보드의 ↑로 이전 명령어를 불러올 수 있고, tab키로 명령어를 자동완성이 가능하다.
이전 명령어들은 history명령어 안에 담기는데 이전 명령어기록을 삭제하고 싶다면 history -c로 삭제가 가능하다.
윈도우엔 메모장이 있다면 리눅스에는 gedit가 있다. (GUI에서 사용)
terminal에 gedit명령어를 입력하면 에디터가 실행된다.
해당 문서를 저장한 뒤 다시 오픈하려면 gedit 해당파일의 경로명
형식으로 입력해 주면 된다. (ex. gedit /root/text.txt)
nano에디터
nano는 cli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텍스트에디터이다.
nano명령어로 실행
저장 : ctrl + x 후에 y
nano -c 파일명으로 해당 파일의 전체 행번호와 커서의 행위치를 알 수 있다.
vi에디터
vi명령어로 실행
vi에디터를 실행하면 처음화면에 도움말이 뜨는데 작성을 하려면 i 또는 a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장성 후 나가려면 esc로 명령어 모드로 전환한 뒤에 :wq 파일이름.확장자 를 입력하고 빠져나온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명령어 (재시작, 종료, 로그아웃) (0) | 2023.04.27 |
---|---|
우분투 리눅스 설치 (0) | 2023.04.17 |
putty, telnet, ftp, ssh (0) | 2023.04.14 |
가상머신(Virtual Machine)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