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베이스란?

  • 특정 업무프로세스 등에 대해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며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 데이터 베이스의 특징으로는 실시간 접근, 계속변화, 동시공유, 내용으로 참조가능이 있다.

     - 실시간 접근 :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 계속변화 :  데이터를 정확하게 반영해야 한다.

     - 동시공유 :  +10과 - 10이 동시에 이루어졌는데 둘 다 같은 데이터를 받아(원본 100이라 가정) 110과 90으로 결과가 

                         엉뚱한 값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 

     - 내용으로 참조가능 : 주소 말고 값으로 참조가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

데이터 베이스 설계란?

  • 업무 프로세스나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일정한 양식으로 작성한 뒤 데이테베이스에 기록하는 일련의 과정

 


 

데이터베이스 설계순서

 

  • 요구조건 분석 : 사용자의 요구사항이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 후 명세서 작성
    • 엔티티와 속성등을 뽑아낸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 개념적 설계 : 개념적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
    •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념 스키마를 만든다. 
    •  E-R모델을 설계한다.
  • 논리적 설계  : 논리 스키마를 설계하고,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를 한다.
    • E-R모델을 구체화해 E-R다이어그램을 설계한다.
    • 제약조건등을 설정한다.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트랜잭션처리량, 응답시간, 디스크 용량등을 고려해야 한다.
    • 컬럼명이나 타입을 구상한다.
  • 데이터베이스 구현 :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이다. 
    • 데이블 생성, 응용프로그램 개발등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 제약조건
  • 무결성 
  • 일관성
  • 회복
  • 보안
  • 효율성
  • 확장성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장점 단점
데이터 중복을 통제할 수 있다. 비용이 많이든다.
데이터 독립성이 확보된다. 백업과 회복방법이 복잡하다.
데이터를 동시공유 할 수 있다. 데이터가 집중화되어있다보니 취약점이 존재한다.
데이터 보안이 향상된다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표준화 할 수 있다.  
장애가 발생시 회복이 가능하며
응용 프로그램 개발비용이 줄어든다
 

 

 

 

 


 

 

Reference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L  (0) 2023.05.31
SQL) DDL  (0) 2023.05.19
보이스/코드 정규화  (0) 2023.05.10
정규화  (0) 2023.05.01
E-R 모델  (0)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