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7)
변수 변수란 값의 저장공간이고, 자료형은 값이 무슨 타입인지를 나타낸다. 자바의 기본형에는 c와 마찬가지로 char, int, float, double, long 등등이 있다. 다만, 조금 다른점은 char타입이 c에서는 1byte이지만 자바에서는 2byte라는 차이점이 있다. 그 이유는 c의 char가 이스키코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c보다 나중에 나온 언어인 자바는 유니코드 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char가 2byte이다. 자바의 기본형 자료형 값의 범위 크기(byte) boolean true, false 1 char 0 ~ 25535 (2^16 - 1) 2 byte -128 ~ 127 1 short -32_768 ~ 32_767 2 int -2^31 ~ 2^31-1 4 long -2^63 ~ ..
삽입 정렬 알고리즘 선택한 원소의 앞이 정렬된 배열로 간주하고 그 배열에 원소를 삽입해 나아가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0 회전 : [ 8, 4, 10, 1 ] ◀ 초기 배열 key = 4 arr [0]은 이미 정렬되어 있다고 간주한다. 1 회전 : [ 4, 8, 10, 1 ] [ 8, 4, 10, 1 ] → [ 8, 8, 10, 1 ] [ 8, 8, 10, 1 ] → [ 8, 8, 10, 1 ] 2 회전 : [ 4, 8, 10, 1 ] [ 4, 8, 10, 1 ] → [ 4, 8, 10, 1 ] 3 회전 : [ 1, 4, 8, 10 ] ◀ 정렬 완료 [ 4, 8, 10, 1 ] → [ 4, 8, 10, 10 ] [ 4, 8, 10, 10 ] → [ 4, 8, 8, 10 ] [ 4, 8, 8, 10 ] → [ 4, 4, 8, ..
선택 정렬 알고리즘 삽입정렬 알고리즘은 배열을 n번 원소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비교를 한다. 그러다 그리고 가장 작은 원소의 인덱스를 저장하고 n번 원소와 교환을 한다. 이 작업을 반복하다 보면 정렬이 되는 알고리즘이다. 0 회전 : [ 5, 6, 3, 1 ] ◀ 초기 배열 1 회전 : [ 1, 6, 3, 5 ] 2 회전 : [ 1, 3, 6, 5 ] 4 회전 : [ 1, 2, 5, 6 ] ◀ 정렬 완료 n 개의 원소가 있으면 다음 노드와의 비교를 n - 1번 하고 최솟값을 찾은 다음 교환 이 작업을 n - 1번 반복한다. Code #include void selectSort(int arr[], int length); int main() { int arr[] = { 5, 7, 1, 2, 8, 9, 10 }; // 실행 se..
E-R 모델 개체 관계 모델이란? 피터 첸이 1976년에 제안한 모델링 방법론이다. 현실세계의 요소를 추출해서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나타낸다. 개체 관계 모델의 3가지 요소 개체 관계 속성 개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만한 가치가 있는 데이터 정보의 세계에서 의미있는 하나의 정보 단위 (출처: 위키백과) 사람이나 사물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사건도 개체가 될 수 있다. 개체의 이름은 중복이 되지 말아야 하며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개체 타입을 가지고 있다.(개체 타입 = 개체이름 + 속성) 명사로 작성한다 ※ 개체가 실체화되면 이것을 개체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테이블에서 하나의 레코드에 해당된다.) 속성 개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다 (비유하자면 class가 개체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