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7)
[데이터베이스] VIEW view란 다른 테이블을 이용해 만들어진 가상의 테이블이다. 사용자는 view를 이용해 실제 테이블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view는 베이스테이블을 참조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성된 view에서 삭제 연산을 수행하면 실제 테이블에서도 데이터가 삭제된다. 그래서 view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삽입이나 삭제연산들을 수행하는 것은 권장되는 방법이 아니라고 한다. 또한 view를 통해 새로운 view를 만들 수 도 있다. view를 만드는 이유 보안성 :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데이터는 감춤으로써 보안성을 향상한다. select문의 간결화 : 미리 조인을 시킨 테이블을 view로 만들어 쿼리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논리적 데이터 독립을 제공한다. view의 단점 독립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 alt..
DCL DCL은 Data Control LAnguage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회수하는 명령어가 있다. grant : 권한 부여 revoke : 권한 회수 ROLL은 목적에 맞는 권한들을 묶어놓은 것으로 사용자에게 한 번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connect : db접속 권한 resource : 테이블이나 인덱스 생성 권한 create view : 뷰 생성 권한 DBA : 관리자 권한 Reference DDL, DML, DCL 이란? (velog.io)
[JS] 자료형 자바 스크립트는 런타임 시점에 값에 따라서 자료형이 결정되는데 이것을 동적 바인딩 이라고 한다. 그 반대인 정적 바인딩은 컴파일 시점에 자료형이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var : 자바에서의 자료형이다. var의 scope는 함수내부에 선언된 변수만 지역변수이며 나머지는 모두 전역번수로 간주한다. 따라서 if문이나 for문에서 선언된 var변수는 해당 블록을 벗어나도 사용이가능하다. 더보기 for (var a = 0; a
[자바] 쉬프트 연산자 쉬프트 연산자 중 모르던 게 있어서 이 기회에 한꺼번에 정리하려고 한다. 자바의 쉬프트 연산자에는 그리고 >>> 가 있다. > :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먄약 맨 왼쪽 비트가 0이었으면 0으로, 1이었으면 1로 채워진다. >>> :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맨 왼쪽 비트는 무조건 0으로 채운다. 또한 >>>는 byte나 short, int, long 타입의 비트를 연산할 때 내부적으로 int로 변환해서 쉬프트 시키고 리턴한다. 따라서 int 가 아닌 다른 자료형으로 받을 경우엔 명시적 형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명시적 형 변환을 해 주면 오른쪽부터 해당 자료형의 크기만큼만 나오게 된다. 또한 최상위 비트가 0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음수를 쉬프트해도 형 변환을 해 주지 않고 int로 받으면 무조건..